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

본문 바로가기


뒤로가기
산화 생분해성

Oxo-biodegradation

바이오 산화 생분해성 (Oxo-biodegradable) 정의

"산소에 의한 분해 (산화 분해)와 세포 매개 현상에 의한 분해 (생분해)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분해 현상" (유럽 표준 기구)
그래프  그래프  
산화분해 반응이 시작되면
  • ① 분자량 감소
  • ② 기계적물성(연신율) 감소
  • ③ 분자 내 산소원소 함유 친수성기(카보닐기) 함량 증가등의 현상이 진행됨
  • 초기 산화분해 단계:
    촉매 열 및 광산화

    d2w 촉매 작용에 의해 긴 분자 사슬이 끊어지고 자유 라디칼이 생김.

    비생물적 분해 단계에서 고분자는 라디칼 산화 반응에 의해 분자량이 작아짐.

  • 산화 단계:
    산소 / UV / 열 작은 분자들의 친수화

    자유 라디칼은 산소 원자와 반응하여

    hydroperoxide를 생성함.

    작아진 분자들은 산소와 반응하여 친수성으로 변함.

  • 생분해 단계:
    미생물 CO2 + 물 + 바이오매스

    친수성기를 가진 작은 분자들은 미생물의 먹이가 됨.

    미생물에 의한 생분해 반응에 의해 무해한

    이산화탄소, 물, 바이오매스로 전환됨.

"산화 생분해 플라스틱의 분해 프로세스는 단순 히 파편화되는 것(물리적으로 쪼개져 크기가 작 아지는 것)이 아니라, 생물의 소화작용이 가능한, 큰 분자에서 단분자 또는 올리고머 수준으로, 그리고 탄화수소 분자에서 산소와 결합한 분자로 전환되는, '물질의 완전한 변화'이다." Ignacy Jakubowicz 교수(스웨덴)


Top

Search

검색